반응형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세계 정세는 양갈래로 갈라지는 느낌이다.
자유시장과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미국과 그 우방국들,
중국, 러시아, 인도 등 사회주의 국가들과 그 연대. 흡사 냉전시대다.
러시아와 유럽간의 관계도 악화되고 에너지 전쟁으로까지 번지는 형국이다.
많은 사람들이 미국과, 중국과 러시아 연합의 대립을 이야기한다.
누군가는 핵전쟁 위기까지 이야기하기도하고,
레이 달리오는 지난 역사를 이야기하며 중국이 다음의 패권국이 될 거라 예견한다.
과거의 역사를 연구하여 미래를 대입해보는건 투자자로써 좋은 통찰이다.
하지만,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대립은 이미 냉전시대를 지나온 구시대적 유물이다. 실제는 없다.
미국은 지난 역사에서, 플라자 합의, 이라크 침공, 양적 완화 등 다양한 이름으로
2인자들을 철저히 짓밟으며 패권국의 자리를 지켜왔다. 정말 강력한 국가이지만,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
불과 몇년 사이에 미국의 아이폰, 구글, 아마존, 테슬라 등
초국가적인 기업들이 전 세계에서 돈을 빨아들이며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
나머지 국가들은 따라잡기에 급급하며, 조금 늦게 따라오는 국가들은 나자빠지기 십상이다.
이런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 등에 그렇게 쉽게 위협을 받을까?
나는 아니라고 본다.
미국은 아직도 견고하고 무엇보다 다시금 중국을 조져버릴 생각을 하고있다. 오만하지 않다.
반응형
'시장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는 것과 현명함에 대해서 (ft. 하워드 막스) (0) | 2022.10.03 |
---|---|
브랜드의 철학과 매력에 대해서 (0) | 2022.09.30 |
10월 금융통화 위원회 전망 (ft. 미국 시장에 대한 생각) (0) | 2022.09.27 |
BTS의 성공과 투자에 대한 생각 (0) | 2022.09.27 |
9월 연준 FOMC 전망과 시장에 대한 생각 (2) | 2022.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