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전 속보를 통해 네이버에서 미국 패션 중고플랫폼인 포쉬마크를 인수한다는 소식이 있었다. 성격이 조금은 다르지만 국내에서 크림에 이어 두번째 C2C(고객간 거래) 관련 플랫폼 인수로 북미에 거점을 마련했다. 인수가는 2조 3400억으로 100%의 지분을 획득했다. 포쉬마크에 대해 살펴보자.
포쉬마크는 한국의 당근마켓처럼 지역단위 커머스와 커뮤니티가 결합된 서비스로 패션, 가정용품, 유아용품 등을 사고 팔 수 있는 플랫폼이다. 현재 8,000만명의 사용자와 2억개 이상의 SKU(상품수)가 있으며, 연간 18억 달러의 거래액, 매출은 3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Summary
1) 지난 4년 동안 30%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21년 24% 22년 11%로 성장이 둔화중이다.
2) 계속되는 순손실과 수익성 지표도 전년 대비 악화되었다. 더군다나 미국내 중고 시장 경쟁 심화와 대외적인 경제 침체로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3) 이런 상황에서 네이버의 포쉬마크 인수 의미와 전망은?
긍정 VS 부정
포쉬마크는 22년 2분기 순수익 약 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0% 성장했으며 활성 고객도 전년 동기 대비 10%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주당 손 순실은 주당 -0.29달러로 전년 동기 -0.03달러 대비해서 큰 폭으로 확대되었다. EBITDA또한 지난 분기에 마이너스로 변경되어 수익 인덱스가 고무적인 상황은 아니다.
미국내 치열한 경쟁과 경기침체의 위협
미국은 중고 플랫폼의 경쟁이 치열하다. 카테고리나 성격은 조금 다르긴 하지만 메루카리,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 크레이그리스트, TheRealReal 등 기존 전통 강자들이 포진되어 있고 특히나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또한 아마존이나 이베이, ETSY같은 핸드크래프트 온라인 커머스까지 대규모 전자상거래와 다양한 버티컬 몰까지 다양하게 강자들이 포진되어 있다. 서비스 플랫폼에서 경쟁이 심화되면 문제가 되는 점은 수익성 약화다. 경쟁사가 많으면 판매자와, 구매자를 잡아둬야 하는데, 이 생태계에 잔류하게 만드는 것은 낮은 수수료다. 즉, 수수료를 낮게 유지하지 않으면 비싼 가격과 적은 보상으로 사용자들이 이탈 할 것이고 포쉬마크 같은 중고 거래 플랫폼은 낮은 수수료 유지로 수익성을 개선하기 매우 어렵다.
또한, 중고 시장의 경우 경기침체 및 소비 심리 축소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중고시장비즈니스 모델상 경기 침체에 비교적 방어가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포쉬마크는 패션 리셀 서비스로 경기침체에 영향을 받고 전체 거래액 자체가 감소될 수 있다. 이전에 리뷰했던 중고차 거래 서비스인 Carvana에서도 비슷한 관점을 이야기 한 적 있다.
결론 : 그래서 네이버는 포쉬마크 인수 잘 한거야?
포쉬마크는 활성 구매자나 거래액에서도 성장둔화 조짐이 보이며, 치열한 경쟁사와 매크로 관점에서도 낙관적이진 않다. 네이버도 이런 부분을 모르고 인수를 추진하진 않았을 것이다. 다만, 미국 진출을 위해 빅테크 (아마존, 페이스북 등) 과 경쟁하기보단 비교적 니치한 중고거래 플랫폼을 잡았을 수도 있다. 최수연 CEO가 네이버의 AI나 검색, 라이브커머스 같은 서비스의 미국 진출 교두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미국은 그야말로 자본주의와 무한 경쟁의 전쟁터기 때문에 국산 기업인 네이버가 얼마나 힘을 쓸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중고시장의 경쟁또한 치열하다. 개인적으로 네이버의 포쉬마켓 인수는 힘든 싸움이 될 것 같다.
천하삼분지계라고 중국의 알리바바, 미국의 아마존, 페북, 구글 그리고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 유럽, 동남아는 아직은 정복이 안된 기회의 땅이다. 네이버 이해진 의장은 유럽과 동남아, 동북아의 네이버/라인 진출을 통해 미국, 중국과 함게 천하삼분지계를 이룰 수 있을거라 생각했을 것이다. (실제로 삼국지를 매우 좋아한다고 한다.) 하지만 갑자기 북미로 전략의 방향이 바뀐 이유에 대해서는 어떤 내부적 의사결정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북미보다는 새로운 땅에 더 공력을 쏟음이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 생각이다.
※ 매수 매도 추천글 아닙니다.
'기업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든의 마리화나 정책 변경과 Tilray 분석 및 전망 (0) | 2022.10.10 |
---|---|
테슬라 현재 시점에서의 분석 및 전망. 네 가지만 고려해보자 (2) | 2022.10.06 |
비아샛 (Viasat) 급등 이유 분석 및 전망 (1) | 2022.10.03 |
Global-E(글로벌-E) 분석 및 전망, 해외직구와 함께 크는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0) | 2022.10.01 |
알파벳(구글) VS 메타(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면? (0) | 2022.09.30 |
댓글